블로그 최신
-
쓰는 기계의 존재론 (오연경 저) 를 읽고
첫째, 입장이 허락된 기계는 인간 성역의 어디까지 진출할 수 있을 것인가. 둘째, 인간만의 성역이란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근래, 인문학 분야에서 생성 AI에 대해 자주 하는 이야기는 결국, 기계가 인간의 어느 영역까지 침범할 수 있는지와 더불어서 인간의 영역이라는 것 자체가 성(聖)화되어있었던 것은 아닌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한다. 이 질문을 던지고 나서 잇달아 언급하는 것이 '뇌과학'인데, 인간의 개성, 정신, 창조성 등이 사실은 일종의 화학 작용이었다는 것을 환기하면서 기계와 인간 사이의 차이점이 사실은 없는 것이 아니냐는 것으로 질문을 전환시키는 것이다. 사실 인공지능이 우리 앞에 놓여있기도 전에 (정확히는 그것을 인문학에서 다루기도 이전에) '과학'은 독자들로 하여금 쉽게 환원주..
2023.11.10 16:49 -
AI 테크놀로지 시대와 시 (조재룡 저)를 읽고 - 1편
1. 저절로 문장을 만드는 기계 혹은 Ghost in the shell내가 문득 창 너머로 길을 지나가는 사람들을 바라본다고 하면, 내가 본 것은 모자와 옷 뿐이요, 그 밑에는 자동 기계가 숨어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 데카르트 우리의 지식이 컴퓨터 프로그램 분야와 접목되어 전개되는 순간이야말로, 우리가 알고 있다고 여기고 있던 ‘신비’가 한층 더 심화되기 시작하는 순간이라는 역설을 목도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역설? 인공지능에 대한 낙관과 비관을 넘어서 우리에게 던져진 질문은 오히려 자연스럽게도 인간에 대한 것이다. 언제부터 우리는 인공지능이 인간을 넘어선 혹은 인간처럼 행동하는 존재라고 규정할 수 있을까. 물론, 그러한 규정이 생기기도 전에 인공지능은 인간을 넘어설수도 인간처럼 행동..
2023.11.01 00:35 -
[논문 리딩] Universal Properties of Mythological Networks
Link https://arxiv.org/abs/1205.4324 Universal Properties of Mythological Networks As in statistical physics, the concept of universality plays an important, albeit qualitative, role in the field of comparative mythology. Here we apply statistical mechanical tools to analyse the networks underlying three iconic mythological narratives wi arxiv.org Abstract - 통계 물리학에서와 마찬가지로 보편성의 개념은 비교 신화 분야에서 질..
2023.01.07 22:30 -
[논문 리딩] Revisiting Sylvia Plath’s and Anne Sexton’s confessional poetry- Analyzing stylistic differences and evolution of poetic voice(s) through computational text analysis
Link https://academic.oup.com/dsh/article-abstract/36/4/950/6146816?redirectedFrom=fulltext Revisiting Sylvia Plath’s and Anne Sexton’s confessional poetry: Analyzing stylistic differences and evolution of poetic voi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to reading the ‘Confessional Poetry’ of Sylvia Plath and Anne Sexton by combining quantitative text analysis method academic.oup.com Abs..
2023.01.07 19:27